VMware Technology Day 2013
# VMware Technology Day 2013
날짜 : 2013년 5월 20일 (월요일)
시간 : 09:00 A.M ~ 05:00 P.M
장소 : 코엑스 컨퍼런스룸 4층 401호
1. 가상화와 클라우드
1.1. 가상화
> 인프라
1.1.1. 계기
> DataCenter
> 유휴 서버에 대한 문제
> 서버의 증대에 따른 공간 및 관리 인원 부족 / ROI 증가
1.2. 클라우드
> 서비스, 비즈니스 측면이 강함
2. Create Virtual Machine
> 일반적인 배포를 사용할 때는 Templete를 사용
> 배포를 위한 스크립트 제공
3. 비즈니스 기능을 위한 자원 할당
3.1. Limit, Reservation and Share
> 해당 VM 마다 자원의 할당 및 제한을 통한 통제 가능
3.2. Resource Pool Settings
> 해당 자원에 대한 그룹별 통제 가능
> VM pool 생성을 통한 자원(cpu, mem) 제한
4. 가상화 인프라 구축 예
물리적 가상화 가용 범위
CPU 1개 4개사용 가능 400%
MEM 2G 4G 사용 가능 200%
Eth 1Gbit * 2ea 1Gbit * 4ea 200%
5. V Motion
5.1. Live Migration 의 요건
> 공유 볼륨을 같이 사용해야 함
> VMotion 설정 네트워크가 따로 존재해야 함
> CPU 가 같아야 함(종류 및 모델명)
5.2. Live Migration 이란?
> 운영 서버에서 Memory를 Box(ESX) 끼리 주고 받는 일
6. Workload
6.1. 초기 구성 방법
> ESX 박스 묶기 > Clsutering
> HA > 이중화
> DRS > Load balance
6.2. HA와 vMotion 차이
> HA는 장애 발생 해당 VM의 재기동
> vMotion 장애 발생 아님, 장애 시간이 0이다.
6.3. V Center의 데이터 수집
> 성능 데이터 수집
> 성능 데이터 분석(DRS)
> cpu memory 만 분석
> DRS의 중요한 자료가 된다. 분석이 이루어져야 DRS 가능
7. 모니터링
7.1. 모니터링 기준은 양쪽~
> VM (host)에서 확인
> Box (ESXi)에서 확인
7.2. 확인 방법
7.2.1. cpu
> Esx / ready 로그 10% 미만인 경우 정상
7.2.2. Memory
> Esx / swap count
7.2.3. Network drop
> drop 수신 > cpu 문제
> drop 송신 > Network Card 문제
7.2.4. Storage
> latency 20~30 일때 정상
> IOPS 확인
7.3. 점검 필수 사항
> Disk Full / Storage 체크
8. HA and FT
8.1. 연간 다운로드 타임에 대한 문제
> 해당 다운타임이 장애만 말하는가? / 유지보수도 포함하는가? 확인 필요
8.2. VC 서비스 장애에 따른 문제
> VC 자체는 연관된 서비스에만 영향을 미침
>> Exam SaaS 형태의 클라우드
> VC 장애시 가상화 문제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음
> VC 보다는 VC의 관련된 DB 정보가 중요
8.3. 이중화의 중요성
8.3.1. Network
> teaming (bonding) 이 기본
8.3.2. Storage
> LUN > Raid 구성
> vm file 자체 백업
8.4. Management Network
> Teaming 필요 / 관리 트래픽에 대해 사용되도록
> Heart Beat 용도로 사용된다
8.5. HA 구성 조건
> 디스크 공유
> CPU 달라도 됨 / 재부팅이 되므로 CPU 달라도 됨
8.6. VC and HA 구성
> VC가 죽어도 HA는 작동
> VC가 죽으면 HA가 구성되어 slave 에서 기동
> HA시 DRS 정보가 없으면 각 Box마다 하나씩 Round Robin 형태로 기동
> HA시 DRS 정보가 있으면 가용성 정보에 따라 기동
8.7. FT
> 현재 1 core VM 에 대해서만 지원
> 메모리 복제 형태로 이루어짐
9. QnA
> VM network backup 형태
> Storage 단 백업
> VC DB 백업
> ESXi 백업, vicfg
10. 소감
VMware와 다른 가상화 시스템의 기능성의 차이는 거의 없다고 생각 됩니다.
다만 안전성과 BMT에 대한 결과 정보에 따른 성능의 차이가 주된 요인이라 생각됩니다.
이번 세미나를 통해 VMware Sphere 와 oVirt의 기능의 차이를 생각해도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만.
지원하는 파일 시스템 형태( Linux는 open source 기반의 파일 시스템을 추가적으로 지원 합니다.)에서 차이가 있었습니다.
또한 가상화 도입에 따른 성능 저하 문제에 대해 이야기를 하였는데
이 경우도 CPU Memory 보다도 네트워크 과부하에 따른 부하가 원인이 많이 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가상화 안에서의 네트워크 통신은 빠르지만 외부 구간에서의 네트워크 구성에 대한 사항은 전체적으로
큰 Bandwidth를 지원해줘야 가상화의 효과를 충분이 볼것이라 생각 됩니다.
날짜 : 2013년 5월 20일 (월요일)
시간 : 09:00 A.M ~ 05:00 P.M
장소 : 코엑스 컨퍼런스룸 4층 401호
1. 가상화와 클라우드
1.1. 가상화
> 인프라
1.1.1. 계기
> DataCenter
> 유휴 서버에 대한 문제
> 서버의 증대에 따른 공간 및 관리 인원 부족 / ROI 증가
1.2. 클라우드
> 서비스, 비즈니스 측면이 강함
2. Create Virtual Machine
> 일반적인 배포를 사용할 때는 Templete를 사용
> 배포를 위한 스크립트 제공
3. 비즈니스 기능을 위한 자원 할당
3.1. Limit, Reservation and Share
> 해당 VM 마다 자원의 할당 및 제한을 통한 통제 가능
3.2. Resource Pool Settings
> 해당 자원에 대한 그룹별 통제 가능
> VM pool 생성을 통한 자원(cpu, mem) 제한
4. 가상화 인프라 구축 예
물리적 가상화 가용 범위
CPU 1개 4개사용 가능 400%
MEM 2G 4G 사용 가능 200%
Eth 1Gbit * 2ea 1Gbit * 4ea 200%
5. V Motion
5.1. Live Migration 의 요건
> 공유 볼륨을 같이 사용해야 함
> VMotion 설정 네트워크가 따로 존재해야 함
> CPU 가 같아야 함(종류 및 모델명)
5.2. Live Migration 이란?
> 운영 서버에서 Memory를 Box(ESX) 끼리 주고 받는 일
6. Workload
6.1. 초기 구성 방법
> ESX 박스 묶기 > Clsutering
> HA > 이중화
> DRS > Load balance
6.2. HA와 vMotion 차이
> HA는 장애 발생 해당 VM의 재기동
> vMotion 장애 발생 아님, 장애 시간이 0이다.
6.3. V Center의 데이터 수집
> 성능 데이터 수집
> 성능 데이터 분석(DRS)
> cpu memory 만 분석
> DRS의 중요한 자료가 된다. 분석이 이루어져야 DRS 가능
7. 모니터링
7.1. 모니터링 기준은 양쪽~
> VM (host)에서 확인
> Box (ESXi)에서 확인
7.2. 확인 방법
7.2.1. cpu
> Esx / ready 로그 10% 미만인 경우 정상
7.2.2. Memory
> Esx / swap count
7.2.3. Network drop
> drop 수신 > cpu 문제
> drop 송신 > Network Card 문제
7.2.4. Storage
> latency 20~30 일때 정상
> IOPS 확인
7.3. 점검 필수 사항
> Disk Full / Storage 체크
8. HA and FT
8.1. 연간 다운로드 타임에 대한 문제
> 해당 다운타임이 장애만 말하는가? / 유지보수도 포함하는가? 확인 필요
8.2. VC 서비스 장애에 따른 문제
> VC 자체는 연관된 서비스에만 영향을 미침
>> Exam SaaS 형태의 클라우드
> VC 장애시 가상화 문제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음
> VC 보다는 VC의 관련된 DB 정보가 중요
8.3. 이중화의 중요성
8.3.1. Network
> teaming (bonding) 이 기본
8.3.2. Storage
> LUN > Raid 구성
> vm file 자체 백업
8.4. Management Network
> Teaming 필요 / 관리 트래픽에 대해 사용되도록
> Heart Beat 용도로 사용된다
8.5. HA 구성 조건
> 디스크 공유
> CPU 달라도 됨 / 재부팅이 되므로 CPU 달라도 됨
8.6. VC and HA 구성
> VC가 죽어도 HA는 작동
> VC가 죽으면 HA가 구성되어 slave 에서 기동
> HA시 DRS 정보가 없으면 각 Box마다 하나씩 Round Robin 형태로 기동
> HA시 DRS 정보가 있으면 가용성 정보에 따라 기동
8.7. FT
> 현재 1 core VM 에 대해서만 지원
> 메모리 복제 형태로 이루어짐
9. QnA
> VM network backup 형태
> Storage 단 백업
> VC DB 백업
> ESXi 백업, vicfg
10. 소감
VMware와 다른 가상화 시스템의 기능성의 차이는 거의 없다고 생각 됩니다.
다만 안전성과 BMT에 대한 결과 정보에 따른 성능의 차이가 주된 요인이라 생각됩니다.
이번 세미나를 통해 VMware Sphere 와 oVirt의 기능의 차이를 생각해도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만.
지원하는 파일 시스템 형태( Linux는 open source 기반의 파일 시스템을 추가적으로 지원 합니다.)에서 차이가 있었습니다.
또한 가상화 도입에 따른 성능 저하 문제에 대해 이야기를 하였는데
이 경우도 CPU Memory 보다도 네트워크 과부하에 따른 부하가 원인이 많이 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가상화 안에서의 네트워크 통신은 빠르지만 외부 구간에서의 네트워크 구성에 대한 사항은 전체적으로
큰 Bandwidth를 지원해줘야 가상화의 효과를 충분이 볼것이라 생각 됩니다.
댓글
댓글 쓰기